![]() |
| ▲ |
20여 년 전만 해도 신평리시장에는 빵집들이 많았다. 열 곳이 넘는 빵집이 호황을 누릴 정도로 신평리시장에는 빵집이 즐비했지만, 지금은 ‘황제베이커리’ 한 곳만 남고 모두 떠났다.
신현학 사장은 25년 전에 이곳에서 황제베이커리 문을 열었다. 당시에는 많은 빵집들이 있었지만 문을 열면 집집마다 빵을 사기 위해 줄을 설 정도로 손님들이 많았다고 한다.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들이 주변 아파트, 주택가 등 곳곳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의 발길도 점점 뜸해졌고, 시장을 지키던 빵집들도 하나, 둘 떠나갔다.
신현학 사장은 처음 이모부 밑에서 빵을 배우고 서울이며, 부산 등지를 돌며 빵을 배웠다. 그렇게 익힌 기술로 이곳에 자리를 튼 게 30대 초반, 신현학 사장은 “빵을 만들면서 청춘을 다 보냈다”며 웃었다.
신현학 사장은 “오랜 단골들이 잊지 않고 우리집을 찾아오니 그냥 자리를 지키고 있다”며 웃었다. ‘황제베이커리’의 오랜 단골들이 잊지 않고 집앞 프랜차이즈 빵집을 두고 멀리 시장까지 찾아오는 이유는 뭘까?
‘황제베이커리’에서는 우유 80%로 빵을 반죽한다. 나머지도 그냥 수돗물이 아니라 정수기 물을 쓴다. 신현학 사장은 “우유로 반죽을 하면 빵의 식감이 훨씬 부드럽고 좋아진다”며 “우유뿐만 아니라 빵을 만드는 모든 재료를 좀 더 비싸더라도 좋은 걸 선택하는 것”이 황제베이커리 빵의 맛의 비결이라고 소개했다. 신현학 사장은 황제베이커리의 빵맛을 인정해주는 고객들 때문에라도 이 자리를 지킬 것이라며 환하게 웃었다.
소상공인포커스 / 이재윤 기자 liehann@naver.com
[저작권자ⓒ 소상공인포커스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![[소상공人줌] 대물 조개전골의 성공 신화, 박태현 대표의 창업에서 성장까지의 여정](/news/data/20240227/p1065617231770938_699_h2.jpg)
![[청년창업人] 삶의 빈 공간을 커피와 요리, 커뮤니티로 채우다](/news/data/20240216/p1065623134093441_387_h2.jpg)
![[청년창업人] 플틴의 혁신, 단백질 음료로 건강과 맛을 재정의하다](/news/data/20240214/p1065604873523031_437_h2.jpg)
![[匠人 줌인] 문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공간, 새벽감성1집 김지선 대표의 이야기](/news/data/20240112/p1065619773312488_227_h2.jpg)








